목차
메타인지 전략 사용
보통 수준
문제 해결 전략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됨
읽기 동기
높은 수준
유머/만화책 선호
이해 능력 수행도
평균 미만
사우디 EFL 학생 60명
1. 서론
읽기 이해 능력은 고등 교육에서 가장 필수적인 학습 기술 중 하나입니다. 학술 및 기술 과정은 상당한 양의 독해를 요구하며, 학생들은 학문적 및 전문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읽은 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TOEFL iBT® 및 IELTS 시험 보고서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읽기와 쓰기가 가장 덜 발달된 언어 기술에 속합니다. 이러한 결핍은 학생들의 영어 읽기 활동에 대한 제한된 노출과 읽기에 대한 낮은 관심 및 동기 부여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2. 문헌 고찰
2.1 메타인지 읽기 전략
메타인지 읽기 전략은 읽기 과정 중 인지 과정에 대한 의식적 인식과 통제를 의미합니다. Flavell(1979)의 메타인지 이론이 기초를 이루며, 독자의 읽기 이해를 모니터링, 통제, 조절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읽기 전략 메타인지 평가(MARSI)는 세 가지 주요 범주를 식별합니다: 전체적 읽기 전략(GLOB), 문제 해결 전략(PROB), 지원 읽기 전략(SUP).
2.2 읽기 동기 이론
읽기 동기는 개인이 읽기 활동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신념, 가치 및 목표를 포괄합니다. 자기 결정 이론(Deci & Ryan, 1985)은 내재적 동기(즐거움을 위한 읽기)와 외재적 동기(외부 보상을 위한 읽기)를 구분합니다. 읽기 동기 설문지(MRQ)는 자기 효능감, 호기심, 참여, 인정을 포함한 읽기 동기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합니다.
2.3 읽기 이해 모델
읽기 이해는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읽기의 단순 관점(Gough & Tunmer, 1986)은 읽기 이해가 해독과 언어 이해의 곱과 같다고 가정합니다: $RC = D \times LC$. Kintsch(1998)의 구성-통합 모델과 같은 보다 최근의 모델들은 읽기 이해의 상호작용적 성격을 강조합니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메타인지 읽기 전략, 읽기 동기 및 읽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기술적 조사 및 기술적 상관관계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3.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남성만을 위한 국립 공업 대학에서 무작위로 선발된 60명의 사우디 대학생 EFL 학습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연구 대상자는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작위 표집 기법을 사용하여 선발되었습니다.
3.3 연구 도구
세 가지 주요 도구가 사용되었습니다: 메타인지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읽기 전략 설문(SORS), 읽기 동기를 평가하기 위한 읽기 동기 설문지(MRQ), 읽기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읽기 이해 시험.
3.4 자료 분석
자료는 기술 통계(평균, 표준 편차)와 추론 통계(t-검정, 상관관계 분석)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유의 수준은 p < 0.05로 설정되었습니다.
4. 연구 결과
4.1 통계 분석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학술 텍스트를 읽을 때 다양한 메타인지 읽기 전략을 보통 수준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 가지 범주 중 문제 해결 전략(PROB)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응답자들은 특히 유머/만화책에 대한 선호를 보이며 읽기에 대한 높은 동기를 나타냈습니다.
4.2 상관관계 결과
t-검정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는 메타인지 읽기 전략과 읽기 이해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r = 0.18, p > 0.05). 읽기 관심/동기와 읽기 이해 사이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습니다(r = 0.12, p > 0.05). 그러나 읽기 전략과 읽기 동기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습니다(r = 0.42, p < 0.05).
핵심 통찰
- 사우디 EFL 학생들이 문제 해결 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함
- 높은 동기 수준이 반드시 더 나은 이해로 이어지지는 않음
- 문화적 및 교육적 맥락이 읽기 결과에 상당히 영향을 미침
- 전통적인 읽기 전략 교육은 맥락에 맞는 적응이 필요할 수 있음
5. 논의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메타인지 전략, 동기 및 읽기 이해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기존 연구와 상반됩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문화적 요인, 교육적 맥락 또는 측정 도구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영어 읽기 활동에 대한 제한된 노출과 읽기에 대한 다른 문화적 태도를 가진 사우디 교육 맥락은 이러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6. 기술적 분석
원본 분석
본 연구는 제2언어 읽기 연구에서 확립된 이론에 도전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제시합니다. 사우디 EFL 학생들 사이에서 메타인지 전략과 읽기 이해 수행도 사이의 상관관계 부재는 Carrell(1998)과 Zhang(2001)을 포함한 많은 선행 연구들과 모순됩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사우디 교육 환경에 특정된 문화적 및 맥락적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국가 읽기 패널(2000)의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읽기 교육은 일반적으로 명시적 전략 교수를 포함하지만, 본 연구는 특정 문화적 맥락에서 전통적 접근법이 상당한 적응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읽기 이해와 그 예측 변수 간의 수학적 관계는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습니다: $RC = \beta_0 + \beta_1MS + \beta_2RM + \epsilon$, 여기서 RC는 읽기 이해를, MS는 메타인지 전략을, RM은 읽기 동기를 나타내며, $\epsilon$은 오차 분산을 나타냅니다. 본 연구에서 계수 $\beta_1$과 $\beta_2$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다른 측정되지 않은 변수들이 이 특정 맥락에서 더 영향력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UNESCO 글로벌 교육 모니터링 보고서(2021)에서 인용된 것과 같은 유사한 맥락의 연구들과의 비교 분석은 읽기 이해 결과가 사회경제적 요인, 교육 정책 및 읽기에 대한 문화적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여줍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높은 동기 but 낮은 이해 수행도는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다른 걸프 국가들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이는 제한된 실제 언어 노출과 암기식 학습 방법에 의존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기술적 다이어그램
연구 방법론은 메타인지 전략과 읽기 동기가 외생 변수이고 읽기 이해가 내생 변수로 예측되는 구조 방정식 모델로 시각화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예측 변수에서 읽기 이해로의 경로 계수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모델에 추가적인 매개 변수나 조절 변수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코드 구현
# Python pseudocode for correlation analysis
import pandas as pd
import scipy.stats as stats
# Load research data
data = pd.read_csv('reading_study_data.csv')
# Calculate correlations
strategy_comprehension_corr = stats.pearsonr(
data['metacognitive_strategies'],
data['reading_comprehension']
)
motivation_comprehension_corr = stats.pearsonr(
data['reading_motivation'],
data['reading_comprehension']
)
strategy_motivation_corr = stats.pearsonr(
data['metacognitive_strategies'],
data['reading_motivation']
)
print(f"Strategy-Comprehension Correlation: {strategy_comprehension_corr}")
print(f"Motivation-Comprehension Correlation: {motivation_comprehension_corr}")
print(f"Strategy-Motivation Correlation: {strategy_motivation_corr}")
7. 향후 적용 방안
향후 연구는 사우디 및 유사한 교육 맥락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문화적으로 적응된 읽기 전략 교육을 탐구해야 합니다. 잠재적 적용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읽기 평가 도구 개발
- 기술 강화 읽기 플랫폼 통합
- 시간에 따른 읽기 발달을 추적하는 종단 연구
- 다른 EFL 맥락과의 문화 간 비교 연구
- 어휘 지식과 읽기 유창성과 같은 추가 변수 조사
8. 참고문헌
-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 Gough, P. B., & Tunmer, W. E. (1986).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7(1), 6-10.
- Kintsch, W. (1998). Comprehension: A paradigm for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rrell, P. L. (1998). Can reading strategies be successfully taught? Australian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21(1), 1-20.
- Zhang, L. J. (2001). Awareness in reading: EFL students' metacognitive knowledge of reading strategies in an acquisition-poor environment. Language Awareness, 10(4), 268-288.
- National Reading Panel (2000).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n read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 UNESCO (2021).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Non-state actors in education.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